[내보내기 설정] 대화 상자에서 소스 탭을 선택합니다.
- Adobe Media Encoder 사용 안내서
- Beta 릴리스
- 소개
- 인코딩을 빠르게 시작하는 방법과 기본 사항
- 인코딩과 내보내기
Adobe Media Encoder의 내보내기 설정 대화 상자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 비디오, 오디오 및 게시 설정에 대해 알아보십시오.
Adobe Media Encoder는 독립 실행형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Adobe Premiere Pro, After Effects, Character Animator, Audition, Adobe Animate의 구성 요소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내보내기 설정] 대화 상자에서 인코딩 옵션을 설정하여 Premiere Pro 또는 After Effects의 컴포지션에서 시퀀스 및 클립을 렌더링하고 내보낼 수 있습니다. [내보내기 설정] 대화 상자를 사용하면 비디오 클립을 내보내기 전에 프레임 속도, 해상도, 품질 등과 같은 매개 변수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Adobe Media Encoder에서 내보내기 설정 대화 상자를 열려면 [대기열] 패널에서 소스 비디오의 출력을 선택하고 다음 중 하나를 수행합니다.
- 출력의 컨텍스트 메뉴에서 내보내기 설정을 선택합니다.
- 편집 > 내보내기 설정을 선택합니다.
- 출력 포맷 또는 사전 설정 이름을 클릭합니다.
편집 > 내보내기 설정을 사용할 수 없다면 미리 [대기열] 패널에서 출력을 선택해야 합니다.
내보내기 설정 대화 상자
[내보내기 설정] 대화 상자의 왼쪽에는 [소스]와 [출력] 보기를 전환할 수 있는 탭, 시간 코드 디스플레이, 타임라인이 있는 비디오 미리 보기 프레임이 있기 때문에 원하는 프레임으로 이동하여 내보낼 비디오의 지속 시간을 트리밍할 때의 [시작] 및 [종료] 지점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내보내기 전에 색상이나 품질을 확인하기 위해 [소스]와 [출력] 미리 보기를 나란히 놓고 비교할 수 있습니다.
대화 상자의 오른쪽에는 사용 가능한 모든 내보내기 설정이 표시됩니다. 여기서 내보내기 포맷과 사전 설정을 선택하고, 비디오와 오디오 인코딩 설정을 조정하고, 효과와 닫힌 캡션, 메타데이터를 추가하고, YouTube 및 Facebook 등 유명 소셜 미디어 사이트에 게시할 수 있습니다.
[내보내기 설정] 대화 상자의 다양한 인코딩 옵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인코딩 및 내보내기를 참조하십시오.
소스 보기
[소스] 탭에는 내보내기 설정이 적용되지 않은 소스 비디오를 보여줍니다. 여기에서 비디오를 재생하고 내보낼 때의 시작 및 종료 지점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내보내기 설정이 소스 미디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빠르게 파악하려면 소스와 출력 탭을 전환합니다.
소스 및 출력 미리 보기
[소스]와 [출력] 미리 보기를 나란히 놓고 비교하려면 [비교] 탭을 사용합니다. 이 기능은 특히 내보내기 전에 색상이나 품질을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자르기 설정
여기서 프레임 일부만 내보낼 수 있도록 소스 비디오를 자를 수 있습니다. 4:3 또는 16:9와 같이 일반적인 자르기 비율 중에서 선택하거나 잘린 프레임에 사용자 정의 값을 설정합니다.
비디오를 자르려면 다음을 수행합니다.
-
-
자르기 컨트롤을 활성화하려면 왼쪽 상단에서 자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
다음 중 하나를 수행합니다.
- 자르기 상자의 변 또는 모퉁이 핸들을 드래그합니다.
- [좌측], [상단], [우측], [하단] 값을 픽셀 단위로 입력합니다.
-
자른 비디오 프레임의 비율을 제한하려면 자르기 비율 메뉴에서 옵션을 선택합니다.
-
잘린 비디오 프레임을 미리 보려면 출력 탭을 클릭합니다.
자르기 이전 이미지로 되돌리려면 [자르기] 단추를 다시 클릭하여 비활성화합니다.
출력 보기
출력 탭에서는 소스 비디오에 적용된 현재 내보내기 설정을 미리 볼 수 있습니다.
소스 비율 조정
내보내기 설정의 프레임 크기가 소스의 프레임 크기와 다른 경우 소스 비율 메뉴를 사용하여 내보낸 비디오 프레임 내에 소스가 어떻게 맞는지를 결정합니다. 이 설정은 편집 가능한 프레임 치수가 있는 모든 출력 포맷에 대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옵션은 왜곡이나 자르기 없이 출력 프레임에 맞도록 소스 프레임의 크기를 조절합니다. 필요한 경우, 비디오의 위쪽과 아래쪽(문자 상자) 또는 측면(기둥 상자)에 검정 막대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소스 비디오를 자른 경우 자른 크기는 내보낸 비디오 프레임 내에 맞춰집니다.
이 옵션은 필요에 따라 소스 프레임의 위쪽/아래쪽 또는 측면을 잘라 왜곡 없이 완전히 출력 프레임에 채워지도록 소스 프레임의 크기를 조절합니다.
이 옵션은 자르지 않고 출력 프레임을 완전히 채우도록 소스 프레임을 확장합니다. 내보낸 프레임 크기가 소스의 프레임 크기와 크게 다른 경우 출력 비디오에서 왜곡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옵션은 자른 영역을 포함하여 소스 프레임의 크기가 왜곡 없이 출력 프레임에 맞게 조정합니다. 출력 프레임이 소스 비디오보다 작은 경우에도 비디오에 흑색 테두리가 적용됩니다.
이 옵션은 출력 비디오 프레임 크기를 소스 비디오 프레임의 높이와 폭으로 자동 설정하며 현재 출력 프레임 크기 설정은 무시합니다. 출력 프레임 크기가 소스 프레임 크기와 항상 일치하도록 하려면 이 설정을 선택합니다.
소스와 일치하도록 출력 크기 변경은 일부 내보내기 포맷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비디오] 탭에서 소스 일치 버튼을 클릭하거나 소스 일치 사전 설정을 선택해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소스 회전
비디오를 여러 출력 포맷에 따라 회전하려면 소스 회전 옵션을 사용합니다. 또한 가로 및 세로 옵션을 사용하여 비디오의 방향을 뒤집을 수도 있습니다.
타임라인 및 시간 표시
타임라인 및 시간 코드 디스플레이는 [소스] 패널과 [출력] 보기에서 미리 보기 프레임 아래에 있습니다. 타임라인에는 현재 프레임을 보여 주는 재생 헤드, 지속 시간 막대, 시작 및 종료 지점을 설정하는 컨트롤이 있습니다.
A. 비디오 미리 보기 프레임 B. 시작 및 종료 마크 C. 지속 시간 D. 소스 범위 E. 확대/축소 레벨 F. 종횡비 교정
다른 프레임을 미리 보려면 타임라인을 따라 재생 헤드를 클릭하거나 드래그합니다. 또한 현재 시간 표시에서 시간 코드를 입력하여 재생 헤드를 해당 프레임으로 이동할 수도 있습니다.
비디오 미리 보기에는 타임라인에서 재생 헤드로 표시된 프레임을 표시합니다. 기본적으로 종횡비 교정이 활성화되어 있으므로 정사각형이 아닌 픽셀 종횡비가 있는 비디오는 컴퓨터 디스플레이에서 왜곡 없이 표시됩니다. 이 설정을 사용하지 않으려면 확대/축소 메뉴 오른쪽에 있는 종횡비 교정 토글 단추를 클릭합니다.
미리 보기 이미지를 축소 또는 확대하려면 타임라인 위에 있는 확대/축소 레벨 선택 메뉴에서 확대/축소 레벨을 선택합니다.
다음을 눌러 축소할 수도 있습니다.
- Ctrl+-(하이픈)(Windows)
- Command+-(하이픈)(Mac OS)
다음을 눌러 확대할 수 있습니다.
- Ctrl+=(등호)(Windows)
- Command+=(등호)(Mac OS)
이러한 키보드 단축키를 사용할 때는 숫자 키패드에 있는 키가 아닌 주 키보드에 있는 키를 사용해야 합니다.
내보낸 비디오의 지속 시간을 트리밍하려면 타임라인에서 시작 지점(첫 번째 프레임) 및 종료 지점(마지막 프레임)을 설정합니다. 시작 및 종료 지점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재생 헤드를 타임라인의 프레임으로 이동하고 타임라인 위에 있는 시작 지점 설정 또는 종료 지점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 타임라인의 양쪽에서 시작 지점 또는 종료 지점 아이콘을 타임라인의 프레임으로 드래그합니다.
- 재생 헤드를 타임라인의 프레임으로 이동하고 I 키를 사용하여시작지점을 설정하고 O 키를 사용하여 종료 지점을설정합니다.
[소스 범위] 메뉴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옵션으로 내보낸 비디오의 지속 시간을 빠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전체 시퀀스 - 소스 클립 또는 시퀀스의 전체 지속 시간을 사용합니다.
- 시퀀스/클립/세션 시작/종료 - Premiere Pro, Audition, 기타 Adobe 앱의 클립 및 시퀀스에 설정된 시작 및 종료 표시를 적용합니다.
- 작업 영역 - Premiere Pro 시퀀스 또는 After Effects 컴포지션에 지정된 작업 영역을 유지합니다.
- 사용자 정의 - 내보내기 설정 대화 상자에 설정된 시작 지점 및 종료 지점을 적용합니다.
Adobe Media Encoder에서는 소스 파일의 시간 코드 정보를 우선 적용합니다. \"시작 시간 코드 설정\" 컨트롤을 사용하면 시작 시간 코드 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소스가 00:00:05:00에서 시작하면 Adobe Media Encoder에서 해당 항목의 타임라인은 0이 아닌 00:00:05:00에서 시작합니다. 이러한 시간 코드 정보는 인코딩된 출력 파일에 포함됩니다.
내보내기 설정
[내보내기 설정]의 상단 섹션에서는 내보낸 비디오의 포맷을 선택하고, 일반 사전 설정의 목록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Media Encoder에 대한 사용자 정의 사전 설정 만들기를 참조하십시오.
내보낸 파일 이름을 변경하고 내보낸 미디어의 목적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비디오 전용 또는 오디오 전용 파일을 내보내는 옵션과 소스 및 출력 설정 요약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효과] 탭을 사용하면 Lumetri 색상 조정, HDR에서 SDR로 변환, 이미지, 텍스트, 타임라인 오버레이 등 다양한 효과를 내보낼 미디어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에 적용된 이 효과를 미리 보려면 [출력] 탭으로 전환합니다.
HDR 미디어/시퀀스를 SDR 내보내기 색상 공간으로 내보낼 때 톤 매핑 효과를 적용합니다.
내보낸 비디오에 여러 색상 등급을 적용하려면 Lumetri 효과를 사용합니다.
Lumetri 사전 설정을 적용하려면 다음 중 하나를 수행합니다.
- 적용됨 팝업 메뉴에서 Lumetri 사전 설정을 선택합니다.
- 선택...을 선택하여 사용자 지정 Look 또는 LUT 파일을 적용합니다.
비-HDR 디바이스에서 재생하기 위해 SDR 일치를 사용하여 HDR(High Dynamic Range) 비디오를 SDR(Standard Dynamic Range)로 변환합니다(값은 퍼센트로 설정).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명도 - SDR 일치 미디어의 전반적인 밝기를 제어합니다.
-
대비 - SDR 일치 미디어의 전반적인 대비를 제어합니다.
-
부드러운 연결 - 하드 클리핑을 예방하기 위해 전체 압축 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합니다.
이미지 오버레이를 사용하여 내보낸 비디오에서 이미지를 오버레이합니다.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적용됨 - 오버레이할 이미지를 검색하고 선택합니다.
-
위치 - 출력 프레임 내 이미지 오버레이의 상대적 위치를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 중앙, 좌측 상단, 우측 하단 등이 있습니다.
-
오프셋 - 이미지 오버레이에 대한 상대적 위치로부터의 가로 및 세로 오프셋(픽셀)을 지정합니다.
-
크기 -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합니다. 기본적으로 이미지 오버레이의 크기는 현재 출력 프레임 크기로 자동 조정됩니다. 이미지는 출력 해상도에 관계없이 해당 크기에 따라 상대적으로 오버레이됩니다.
- 절대 크기 조정 - 이 옵션을 사용하면 이미지 오버레이의 크기를 소스 이미지의 원래 크기와 연결합니다. 사용할 경우, 이미지 오버레이가 높은 출력 해상도에서 더 작게 낮은 출력 해상도에서 더 크게 나타납니다.
-
불투명도 - 오버레이 이미지의 불투명도를 지정합니다.
텍스트를 내보낸 비디오에 추가하려면 [오버레이 이름 지설정]을 사용합니다.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접두어 - 오버레이 이름 설정 앞에 추가된 텍스트입니다.
-
포맷 - 오버레이 텍스트의 표시 옵션입니다.
- 접두어 및 접미어만 해당
- 소스 파일 이름
- 소스 파일 이름(확장자 없음)
- 출력 파일 이름
- 출력 파일 이름(확장자 없음)
-
접미어 - 오버레이 이름 설정 뒤에 추가된 텍스트입니다.
-
위치 - 출력 프레임 내 텍스트의 상대적 위치를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 중앙, 좌측 상단, 우측 하단 등이 있습니다.
-
오프셋(X,Y) - 오버레이 이름 설정의 가로 및 세로 오프셋(픽셀)을 지정합니다.
-
크기 - 텍스트의 크기를 조정합니다.
-
불투명도 - 텍스트 뒤 검정 배경의 불투명도를 지정합니다.
내보낸 비디오에 시간 코드 카운터를 추가하려면 [시간 코드 오버레이]를 사용합니다.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
위치 - 출력 프레임 내 시간 코드의 상대적 위치를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 중앙, 좌측 상단, 우측 하단 등이 있습니다.
-
오프셋(X,Y) - 출력 프레임 내에서 시간 코드의 가로 및 세로 오프셋(픽셀)을 지정합니다.
-
크기 - 시간 코드의 크기를 조정합니다.
-
시간 소스 - 시간 코드를 생성하는 방법을 지정합니다.
-
미디어 파일 - 소스 미디어에서 시간 코드를 읽습니다. 소스 미디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시간 코드 오버레이가 0에서 시작되고 소스의 프레임 속도와 일치합니다.
- 프레임에서 오프셋 - 시간 코드 오버레이가 소스의 시간 코드와 오프셋되는 프레임 수를 지정합니다. 오프셋에 양수 또는 음수 값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시간 코드 생성 - 오버레이에 사용자 지정 시간 코드를 생성합니다.
- 포맷 - 시간 코드 형식을 초당 프레임 수로 선택합니다. 예: 25 fps 시간 코드.
- 시작 시간 - 시간 코드의 시작 값을 설정합니다.
-
[시간 조정기]를 사용하면 특정 섹션에서 프레임을 복제하거나 제거하여 비디오 길이를 자동으로 늘리거나 줄일 수 있어 전체 지속 시간이 크게 변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비디오는 브로드캐스트 일정에 맞도록 약간 짧아야 하지만 전체 시퀀스를 다시 편집할 시간이 없을 수 있습니다.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
현재 지속 시간 - 소스 비디오의 지속 시간입니다.
-
대상 지속 시간 - 효과를 적용한 후 내보낸 비디오의 지속 시간입니다.
-
지속 시간 변경 - 출력 지속 시간과 소스 지속 시간이 달라진 정도입니다. 범위는 -10% 짧게 ~ +10% 길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사전 설정 사용 중 - 사전 설정을 다른 소스에 적용할 때 지속 시간을 조정하는 방법을 결정합니다.
- 대상 지속 시간 - 소스의 원래 지속 시간에 관계없이 대상 지속 시간 값을 사용합니다.
- 지속 시간 변경 - 소스의 원래 지속 시간을 기준으로 지속 시간 변경 값을 사용합니다.
-
슬레이트 건너뛰기 - 지속 시간을 조정할 때 슬레이트가 포함되지 않습니다. [시간 조정기]가 10초를 초과하는 스틸 이미지를 무시하도록 하려면 이 옵션을 활성화합니다.
비디오 제한은 소스 비디오의 광도 및 색상 값을 제한하여 안전한 브로드캐스팅 제한 범위 안에 들어오게 합니다.
-
클립 레벨 - 출력 범위를 IRE 단위로 지정합니다.
-
클리핑하기 전에 압축 - 선명한 클리핑 없이 색상을 범위 내로 가져올 수 있는 \"무릎\"을 적용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자동 음향 강도 교정을 참조하십시오.
비디오 설정
비디오 설정은 선택한 내보내기 형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각 형식에는 사용 가능한 설정을 결정하는 고유한 요구 사항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지원되는 파일 포맷을 참조하십시오.
일부 캡처 카드 및 플러그인 소프트웨어는 관련 옵션이 포함된 자체 대화 상자를 제공합니다. 그러므로 여기에 설명된 옵션과 다른 옵션이 표시되면 캡처 카드 또는 플러그인의 설명서를 참조하십시오.
압축 설정과 관련된 일반적인 정보는 압축 팁을 참조하십시오.
Adobe Media Encoder에서 대부분의 내보내기 형식에는 내보내기 설정을 소스 설정과 자동으로 일치시켜주는 [소스 일치] 옵션이 있습니다.
소스 일치를 지원하는 형식:
- 애니메이션 GIF
- BMP
- DNxHD/DNxHD MXF OP1a - \"소스 일치(다시 래핑)\" 사전 설정만
- DPX
- GIF
- H.264
- HEVC(H.265)
- JPEG
- JPEG 2000 MXF OP1a
- MPEG-2
- MXF OP1a - \"소스 일치(다시 래핑)\" 사전 설정만
- OpenEXR
- PNG
- QuickTime
- Targa
- TIFF
[소스 일치]로 설정하면 Adobe Media Encoder는 소스의 필드 순서와 일치하도록 이 값을 자동으로 설정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인터레이스 대 비인터레이스 비디오를 참조하십시오.
소스 일치 컨트롤 및 사전 설정
H.264 또는 MPEG-2 포맷으로 비디오 파일을 내보내는 경우 Adobe Media Encoder에서 소스 일치 사전 설정을 사용하여 소스 파일의 비디오 설정과 자동으로 일치시킬 수 있습니다. [소스 일치] 사전 설정을 선택하면 [내보내기 설정] 대화 상자의 [비디오] 설정 탭에서 적절한 옵션이 자동으로 활성화됩니다.
Adobe Media Encoder에서는 H.264 및 MPEG-2 내보내기 프로그램에 대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소스 일치 사전 설정을 제공합니다.
- 소스 일치 - 높은 비트 전송률: 고화질(HD) 비디오 소스용. 이 사전 설정은 H.264 및 MPEG-2 내보내기 프로그램 모두에 대한 기본 소스 일치 사전 설정입니다.
- 소스 일치 - 중간 비트 전송률: 일반 화질(SD) 비디오 소스용
소스 일치 사전 설정은 소스의 몇 가지 비디오 특성을 그대로 전달하고 나머지 특성에 대해서는 특정 값을 선택하려는 경우 유용합니다. 소스 일치 설정을 새 사전 설정으로 저장하고 해당 설정을 [대기열] 또는 [감시 폴더] 패널의 모든 소스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감시 폴더에 프레임 크기와 프레임 속도가 다양한 에셋이 포함된 경우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감시 폴더의 모든 에셋을 24fps의 단일 포맷으로 변환하려고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프레임 속도를 제외한 모든 속성에 대해 소스 일치를 사용하도록 설정된 사전 설정을 만들고, 프레임 속도를 24fps로 설정해야 합니다.
다음 설정은 Media Encoder에서 대부분의 내보내기 형식에 흔히 사용됩니다.
-
폭 - 비디오 프레임의 폭입니다.
-
높이 - 비디오 프레임의 높이입니다.
참고:폭 및 높이 값을 함께 연결하면 비디오의 종횡비가 유지됩니다. 폭과 높이를 서로 독립적으로 조정하려면 링크 버튼을 끕니다.
-
비디오 크기 - H.264 블루레이 또는 Wraptor DCP와 같은 일부 형식은 프레임 크기를 특정 값으로 제한합니다. [비디오 크기] 메뉴에는 이러한 형식에 대해 지원되는 프레임 크기가 표시됩니다.
-
프레임 속도 - 비디오 재생 중 초당 표시되는 프레임입니다. 일반적으로 프레임 속도가 높을수록 동작이 매끄러워지지만 소스 미디어의 프레임 속도와 다른 프레임 속도를 선택하면 원치 않는 동작 아티팩트가 생성될 수 있습니다. 일부 형식 및 코덱은 특정 프레임 속도 세트만 지원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프레임 속도를 참조하십시오.
-
필드 순서 - 내보낼 파일에 프로그레시브 프레임이 있는지 또는 인터레이스 필드로 구성된 프레임이 있는지 여부를 지정합니다.
- 디지털TV, 온라인 콘텐츠, 영화 등 디지털 TV에서는 프로그레시브설정을 선호합니다.
- NTSC 또는 PAL 등과 같은 인터레이스 형식으로 내보낼 때 위쪽 우선 또는 아래쪽 우선을 선택하여 인터레이스 필드의 표시 순서를 설정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을 참조하십시오.
-
종횡비 - 비디오의 픽셀 종횡비입니다. PAR(픽셀 종횡비)은 단일 비디오 픽셀의 폭과 높이 비율입니다. HD, 4K UHD, 8K와 같은 디지털 비디오 형식은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픽셀(PAR 1.0)이지만 NTSC 및 PAL과 같은 아날로그 형식은 직사각형 픽셀입니다. 소스 미디어의 PAR과 다른 PAR로 내보내면 비디오 이미지가 왜곡될 수 있습니다.
종횡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
-
TV 표준 - 표준을 NTSC 또는 PAL로 설정합니다. [소스 일치]가 활성화되면 표준은 소스의 속성에 따라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소스 파일 프레임 속도가 25fps인 경우 TV 표준은 PAL로 설정됩니다.
다음 설정은 H.264와 HEVC 형식에 표시됩니다.
[프로파일 및 레벨]은 비디오 출력이 전자 장치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표준에 따르도록 하는 MPEG 기반 인코더에서 사용하는 제한 사항입니다.
기본 포맷을 지정하여 출력할 비디오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
성능 - (H.264 및 HEVC만 해당) - 하드웨어 가속이 기본 선택이며, Media Encoder에게 인코딩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하드웨어를 사용하도록 지시합니다.
- 하드웨어 가속은 시스템의 구성에 따라 다릅니다.
- 시스템 하드웨어에서 특정 내보내기 설정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성능 메뉴가 소프트웨어 전용으로 자동 전환됩니다.
-
프로필 - 일반적인 h.264 프로필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준선 - 빠른 디코딩 속도가 필요한 비디오 회의 및 유사 장치에서 사용하는 가장 단순한 프로필입니다.
- 기본 - SD 브로드캐스트에 주로 사용되는 공통 프로필입니다.
- 높음 - 대부분의 HD 디바이스에서 사용되는 널리 지원되는 프로필입니다.
- High10 - 10비트 디코딩을 지원하는 High 프로필의 확장입니다.
-
레벨 - 프레임 크기, 프레임 속도, 필드 비율, 필드 순서, 종횡비, 비트 전송률, 크로마 및 기타 압축 설정에 사용할 수 있는 선택 범위를 제한합니다. 일반적으로 설정 수준이 높으면 더 큰 비디오 해상도를 지원합니다.
참고:프로필 및 레벨 설정에 대해 확실하지 않은 경우, [소스 일치] 확인란을 활성화하여 Media Encoder에서 소스 미디어의 속성을 기준으로 최상의 설정을 선택하십시오.
-
Rec. 2020 프라이머리 - 4K 및 8K와 같은 UHD 형식에서 지원하는 Rec. 2020 색상 공간을 사용합니다. 프로필이 "High10"으로 설정된 경우 사용할 수 있습니다.
-
HDR(High Dynamic Range) - HDR(High Dynamic Range)을 사용하여 내보내기하며, 높은 비트 심도에서 흰색은 더 밝게 그리고 검정은 더 깊게 세부 묘사합니다. "Rec. 2020 색상 프라이머리"가 활성화된 경우 사용할 수 있습니다.
-
HDR 10 메타데이터 포함 - HDR 10은 PQ 전송 함수를 사용하고 다섯 개의 메타데이터를 추가합니다. 이전 버전의 Media Encoder는 PQ를 지원했지만 메타데이터를 생략했습니다. 이는 사용자가 입력한 값이며 콘텐츠 분석을 수행하지 않습니다. 이 메타데이터의 목적은 HDR 재생 장치에 콘텐츠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하여 올바르게 표시하고 최상의 모양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HDR10 메타데이터 HDR10 메타데이터 디스플레이 색상 볼륨 마스터링
- 색상 기본 - 콘텐츠를 그레이딩하는 동안 사용하는 HDR 모니터의 색 영역입니다. 모니터의 기술 사양을 확인하고 값을 얻으십시오. 세 가지 옵션이 포함된 드롭다운 목록이 있습니다. 가능한 값은 Rec.709, P3D65 (기본값), Rec.입니다. 2020.
- 광도최소값 - 콘텐츠를 그레이딩하는 동안 사용하는 HDR 모니터의 최소 사용 가능한 광도입니다. 모니터의 기술 사양을 확인하고 값을 얻으십시오. 스크럽이 가능한 핫 텍스트를 포함한 숫자 입력입니다. 기본값은 0.0050입니다. 범위는 0.0005 ~ 0.05입니다.
- 광도 최대값 - 콘텐트에 등급을 지정하는 동안 사용하는 HDR 모니터의 최대 광도입니다. 모니터의 기술 사양을 확인하고 값을 얻으십시오. 스크럽이 가능한 핫 텍스트를 포함한 숫자 입력입니다. 기본값은 1000입니다. 범위는 100 ~ 4000입니다.
콘텐츠 조명 레벨
- 최대값 - 프로그램 콘텐츠의 최대 광도입니다. 프로그램의 가장 밝은 부분의 광도를 입력합니다. 광도 범위에 대한 HDR 10 표준 계정은 최대 10,000nits까지 제공되지만 이 밝기를 제공할 수 있는 소비자 패널은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HDR 10 콘텐츠의 광도를 4000nits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HDR 표시는 이 값을 사용하여 밝은 영역이 클리핑되지 않도록 프로그램을 표시 범위에 톤 매핑합니다. 최대 조명 레벨입니다. 휘도 최대와 유사합니다.
- 평균 - 프레임당 최대 평균 조명 레벨입니다. HDR 표시는 프로그램을 마스터링할 때와 동일하게 보이도록 프로그램을 표시 범위에 매핑하는 데 이 값을 사용합니다. 이 값은 콘텐츠의 모양을 크게 변경할 수 있으며 의도한 대로 모든 것이 표시되도록 의도한 디스플레이에서 재생을 테스트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트 전송률]은 비디오 또는 오디오 신호에서 비트/초 단위로 측정되는 데이터의 양입니다. 일반적으로, 비트 전송률이 높을수록 비디오와 오디오의 품질이 향상되고 비트 전송률이 낮을수록 인터넷 연결이 느린 경우에도 재생이 더 쉽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비트 전송률을 참조하십시오.
[비트 전송률] 옵션은 코덱과 형식에 따라 다릅니다. 다음은 몇 가지 일반적인 설정입니다.
-
비트 전송률 인코딩 -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압축하는 데 사용되는 인코딩 방법을 지정합니다.
- CBR(Constant Bit Rate) -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상수 값을 설정합니다. 이 옵션은 내보내기 시간을 줄일 수 있지만 더 복잡한 프레임의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VBR(Variable Bit Rate) - 비디오/오디오 신호의 복잡성에 따라 데이터 전송률을 동적으로 조정합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파일 크기가 작을수록 전체 품질이 향상되지만 내보내기 시간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 VBR 1패스 대 2패스 - 1패스 인코딩은 전체 미디어 파일을 처음부터 끝까지 분석하여 가변 비트 전송률을 계산합니다. 2패스 인코딩을 사용하면 파일을 처음부터 끝까지 두 번 통과하게 됩니다. 두 번째 패스는 인코딩 시간이 길어지지만 인코딩 효율성이 향상되고 대개 더 높은 품질의 출력이 생성됩니다.
참고:해당 미디어 파일에 CBR과 VBR을 비교할 경우, 다음이 일반적입니다. 고정된 데이터 속도의 CBR 파일이 미디어 플레이어나 컴퓨터 프로세서의 리소스를 덜 사용하므로 보다 폭넓은 범위의 시스템에서 안정적인 재생 품질을 보입니다. 하지만 VBR은 이미지 콘텐트에 따라 압축률을 달리하므로 더 우수한 이미지 품질을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대상 비트 전송률[Mbps] - 인코딩된 파일의 전체 비트 전송률을 설정합니다. 비디오는 초당 Mbps로 측정되고 오디오는 초당 킬로비트(kbps)로 측정됩니다.
-
최대 비트 전송률[Mbps] - VBR 인코딩 중 허용되는 최소 및 최대 값을 설정합니다.
적응형 비트 전송률 사전 설정 - H.264 형식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세 가지 적응형 비트 전송률 사전 설정이 있습니다.
- Match Source - Adaptive Low Bitrate
- Match Source - Adaptive Medium Bitrate
- Match Source - Adaptive High Bitrate
이러한 사전 설정은 전체 비트 전송률을 계산할 때 소스 미디어의 해상도 및 프레임 속도를 고려하여 파일 크기와 내보내기 속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적응형 사전 설정은 SD 미디어에 적용할 때 낮은 비트 전송률을 사용하지만 HD 또는 4-K 미디어에 적용할 때 비트 전송률이 높아집니다.
다음은 여러 형식 및 코덱에 있는 몇 가지 일반적인 고급 설정입니다.
키프레임 거리 - 내보낸 비디오에 키프레임(I-프레임이라고도 함)을 삽입하는 빈도를 지정하려면 이 옵션을 활성화합니다. 일반적으로 키프레임 값이 낮을수록 비디오의 품질이 높아지지만 파일 크기가 커질 수 있습니다. 비활성화된 경우 Media Encoder에서는 내보내기 형식 및 프레임 속도를 기준으로 적절한 키프레임 거리를 선택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키프레임을 참조하십시오.
일부 QuickTime 및 AVI 코덱은 사용자 정의 키프레임 간격 설정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코덱에 대해 [키 프레임 거리] 옵션이 비활성화됩니다.
스틸 최적화 - 시퀀스의 스틸 이미지를 일련의 반복되는 프레임 대신 단일 프레임으로 렌더링하여 내보낸 비디오의 파일 크기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려면 이 옵션을 활성화합니다. 지원되는 플레이어에서 최적화된 스틸 프레임이 정확히 지속 시간 동안 표시됩니다. 내보낸 비디오 파일에서 스틸 이미지를 표시할 때 재생 문제가 표시되는 경우 이 옵션을 선택 해제하고 파일을 다시 내보냅니다.
VR 내보내기 설정을 사용하면 일반 푸티지와 동일한 방식으로 360도 푸티지를 내보낼 수 있습니다. VR 360을 사용하면 등장방형 및 이중 구 형식으로 편집할 수 있습니다. 푸티지는 모노와 입체입니다. 등장방형 비디오를 내보내는 것은 몇 번의 주의 사항과 함께 다른 유형의 비디오를 내보내는 것과 유사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몰입형 VR 비디오 작업을 참조하십시오.
비디오가 VR 확인란을 선택하고 해당 옵션을 편집합니다.
가로 및 세로 시야
사용자는 자동 VR 속성을 비활성화하고 프레임 레이아웃과 가로 및 세로 시야를 수동으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효과에서 모노, 입체(위/아래로) 및 입체(나란히) 간에 프레임 레이아웃을 변환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VR 내보내기 설정
일반 푸티지와 동일한 방법으로 360도 푸티지를 내보낼 수 있습니다. VR 360을 사용하면 등장방형 및 이중 구 형식으로 편집할 수 있습니다. 푸티지는 모노와 입체입니다. 등장방형 비디오를 내보내는 것은 몇 번의 주의 사항과 함께 다른 유형의 비디오를 내보내는 것과 유사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몰입형 VR 비디오 작업을 참조하십시오.
오디오
오디오 설정은 내보내기 설정 대화 상자의 [오디오] 탭에 있습니다. 설정은 선택한 내보내기 형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기본 포맷을 지정하여 출력할 오디오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
오디오 코덱 - 오디오 압축 코덱을 지정합니다. 일부 오디오 포맷은 압축되지 않은 오디오만 지원합니다. 압축되지 않은 오디오는 품질이 높지만 디스크 공간을 더 많이 사용합니다. 일부 형식에서는 코덱을 하나만 제공하며, 다른 형식에서는 여러 코덱의 목록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샘플 속도 - 오디오가 이산 디지털 값으로 변환되는 주파수(Hz)입니다. 샘플 속도가 높을수록 오디오의 품질은 향상되지만 파일 크기는 커집니다. 최상의 결과를 얻으려면 레코딩할 때와 동일한 샘플 속도로 오디오를 내보내야 합니다. 샘플 속도를 높게 내보내면 품질이 향상되지 않으며 내보내기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리샘플링이 필요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압축 팁을 참조하십시오.
-
채널 - 내보낸 파일에 포함된 오디오 채널 수를 지정합니다. 시퀀스나 미디어 파일의 마스터 트랙에 있는 것보다 적은 수의 채널을 선택할 경우, Adobe Media Encoder에서는 오디오를 다운믹싱합니다. 일반적인 채널 설정으로는 모노(1채널), 스테레오(2채널), 5.1(6채널 서라운드 사운드)이 있습니다.
다운믹싱은 5.1에서 스테레오로, 스테레오에서 모노로 등 특정 채널화 조합에서만 작동합니다. N-채널에서 스테레오로 또는 모노로 옵션에서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참고:QuickTime 형식에는 소스 채널이 내보낸 파일의 출력 채널로 라우팅되는 방식을 제어할 수 있는 [오디오 채널 구성] 옵션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스테레오, 5.1 채널화 등을 포함하여 여러 오디오 출력 구성을 단일 QuickTime 파일에 내보내서 렌더링 시간을 절약하고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습니다.
-
샘플 크기 - 샘플당 오디오 데이터의 양("비트 심도"라고도 함)입니다. 샘플 크기가 더 높은 오디오로 기록된 경우 일반적으로 사운드 품질이 향상되지만 파일 크기가 더 커집니다.
비트 전송률[kbps]은 오디오의 출력 비트 전송률입니다. 일반적으로 비트 전송률이 높을수록 품질이 향상되고 파일 크기는 늘어납니다.
멀티플렉서
H.264, HEVC(H.265), MPEG와 같은 형식에는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가 단일 스트림으로 병합되는 방식을 제어하는 멀티플렉서 탭("묵싱"이라고도 함)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멀티플렉싱]을 [없음]으로 설정하면 비디오 및 오디오 스트림이 별도의 파일로 내보내집니다.
MPEG 옵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MPEG-4(ISO/IEC 14496) 및 MPEG-2(ISO/IEC 13818)용 관련 MPEG 사양서를 참조하거나 Wikipedia 웹 사이트를 참조하십시오.
캡션
닫힌 캡션은 일반적으로 닫힌 캡션 표시를 지원하는 TV 및 기타 장치에서 비디오의 오디오 부분을 텍스트로 표시하는 데 사용됩니다. 내보내기 설정 대화 상자의 새로운 캡션 탭을 사용하여 닫힌 캡션 데이터를 내보낼 때의 포맷과 프레임 속도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프레임 속도 옵션은 내보낼 때 선택하는 파일 포맷에 따라 다릅니다. 자세한 내용은 닫힌 캡션 데이터 내보내기를 참조하십시오.
게시
[게시] 탭을 사용하여 다른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Adobe Media Encoder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 사전 설정 목록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Adobe Media Encoder의 게시 설정을 참조하십시오.
렌더링 및 시간 보간 설정
이 옵션은 소스 미디어와 다른 프레임 크기로 비율을 조정할 때 세부 묘사를 유지하고 앨리어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예를 들어, 고해상도 4K 시퀀스에서 저해상도 HD 또는 SD 형식으로 내보낼 수 있습니다. 이 옵션을 활성화하면 품질은 향상되지만 다음 사항에 유의하십시오.
- 특히 지원되는 GPU가 없는 시스템에서 내보내기 시간이 크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 렌더러가 금속, CUDA 또는 OpenCL로 설정된 경우 지원되는 GPU 하드웨어가 있는 시스템에서는 자동으로 최대 렌더링 품질을 사용합니다. 이 경우, 이 설정을 선택 해제한 상태로 둡니다.
- 이 옵션은 다른 프레임 크기로 내보내는 경우에만 유용합니다. 소스 미디어와 동일한 프레임 크기로 내보내는 경우 이 설정을 선택 해제합니다.
이 옵션이 활성화된 경우 Adobe Media Encoder는 새 미디어를 렌더링하는 대신 Premiere 시퀀스에 대해 이미 생성된 미리 보기 파일을 사용하여 내보냅니다. 이 옵션은 내보내기 시간을 단축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선택한 미리 보기 형식에 따라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Premiere Pro 도움말 문서 미리보기 파일로 작업을 참조하십시오.
이 설정은 Premiere Pro 시퀀스에만 적용할 수 있습니다.
프록시는 편집하고 내보내는 동안 성능을 높이는 데 사용됩니다.
이 옵션이 활성화된 경우 Adobe Media Encoder는 새 미디어를 렌더링하는 대신 시퀀스에 대해 이미 생성된 프록시 파일을 사용하여 내보냅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내보내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 확인란은 기본적으로 선택되어 있지 않습니다.
소스의 시간 코드와 다른 내보낸 미디어의 시작 시간 코드를 지정하려면 이 옵션을 활성화합니다. 내보낼 때 소스의 시간 코드를 사용하려면 이 옵션을 선택 해제한 상태로 둡니다.
이 옵션은 알파 채널이 포함된 소스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활성화하면 알파 채널만 출력 비디오에서 렌더링되고 알파 채널의 회색 음영 미리 보기가 [출력] 탭에 표시됩니다. 이 설정은 투명도 정보를 지원하지 않는 MXF 등의 포맷으로 내보낼 때 유용합니다. 알파 채널만 출력을 사용하면 서드 파티 애플리케이션에서 비디오의 투명한 영역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내보낸 미디어의 프레임 속도가 소스 미디어와 다를 때 시간 보간이 수행됩니다. 예를 들어, 소스 시퀀스가 30fps이지만 60fps로 내보내는 경우. [시간 보간]은 다음 방법으로 프레임을 생성하거나 제거합니다.
- 프레임 샘플링 - 원하는 프레임 속도를 얻기 위해 프레임을 복제 또는 제거합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일부 푸티지에서 끊김 현상이 발생하거나 불안한 재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프레임 혼합 - 인접한 프레임과 혼합하여 프레임을 추가하거나 제거하여 재생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광학 흐름 - 주변 프레임에서 픽셀 동작을 보간하여 프레임을 추가하거나 제거합니다. 프레임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경우 아티팩트가 발생할 수 있지만 이 옵션을 사용하면 일반적으로 부드럽게 재생됩니다. 이 오류가 발생하면 다른 시간 보간 설정 중 하나를 사용해보십시오.
내보낸 비디오의 최대 파일 크기를 설정하려면 이 옵션을 선택합니다. 이 옵션은 예상 파일 크기를 허용하는 사전 설정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파일 크기와 일치하도록 수정된 비트 전송률로 더 긴 파일을 내보낼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파일 크기 제한이 있는 YouTube와 같은 내보내기 대상에 유용합니다.
내보내기 및 씬 XMP 메타데이터
메타데이터는 미디어 파일에 대한 일련의 설명 정보입니다. 메타데이터에는 만든 날짜, 파일 형식, 타임라인 마커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메타데이터 내보내기] 대화 상자에서 내보낸 미디어에 포함할 XMP 메타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메타데이터 내보내기 대화 상자를 열려면 내보내기 설정 대화 상자의 오른쪽 아래에 있는 메타데이터 버튼을 클릭합니다.
[내보내기 옵션] 메뉴를 사용하여 내보낸 파일과 함께 XMP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선택합니다.
- 없음 - 소스의 XMP 메타데이터를 내보낼 수 없습니다. 그러나, 내보내기 설정 및 시작 시간 코드와 같이 내보낸 파일의 기본 메타데이터는 [없음]을 선택한 경우라도 항상 내보내집니다.
- 출력 파일에 포함 - XMP 메타데이터는 내보낸 파일 자체에 저장됩니다.
- 사이드카 파일 만들기 - XMP 메타데이터는 내보낸 파일과 동일한 디렉토리에 별도의 파일로 저장됩니다.
출력 파일에 포함 옵션은 포함된 XMP 데이터를 지원하지 않는 형식에는 비활성화됩니다.
내보내기 템플릿은 출력 파일에 기록할 XMP 메타데이터를 지정합니다. 예를 들어 내보내기 템플릿에 소스 파일의 다양한 XMP 메타데이터를 포함하거나, 연락처 정보를 추가하거나, 각 출력 파일에 대한 권한 관리 정보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내보내기 템플릿은 현재 템플릿에서 명시적으로 활성화되지 않은 모든 필드를 필터링합니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제작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자동으로 입력된 내부 속성은 편집할 수 없으며 내보내기에 항상 포함됩니다.
사용자 자신의 내보내기 템플릿을 생성하려면 [템플릿 내보내기] 메뉴 옆에 있는 [새로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개별 필드나 범주는 [템플릿 내보내기 편집기] 대화 상자에서 선택하여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특정 필드를 찾으려면 [템플릿 내보내기 편집기] 대화 상자의 위쪽에 있는 검색 필드를 사용하십시오. 내보내기 템플릿의 이름은 이해하기 쉬운 이름으로 지정해야 합니다.
기존에 사용자 정의한 내보내기 템플릿을 편집하려면 [템플릿 내보내기] 메뉴에서 해당 내보내기 템플릿을 선택한 다음 [편집]을 클릭합니다.
내보내기 템플릿을 적용한 후에도 수동으로 값을 입력하여 현재 인코딩 대기열 항목에 특정 XMP 메타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제작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기록되는 필드와 같이 일부 필드는 편집할 수 없으며 출력 파일에서 제외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Dublin Core 스키마의 [포맷] 필드와 Dynamic Media 스키마의 [비디오 프레임 속도] 필드는 출력 파일을 정확히 설명하기 위해 Adobe Media Encoder에서 설정하는 필드이므로 사용자가 편집할 수 없습니다. 또한 현재 내보내기 템플릿에서 자동으로 지정한 값은 편집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값을 변경하려면 템플릿을 변경하거나 다른 템플릿을 적용해야 합니다.
데이터가 없는 필드는 템플릿에서 지정하지 않았든, 직접 입력하지 않았든 상관없이 내보낸 XMP 메타데이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즉, 비어 있는 필드는 출력 파일에 기록하지 않습니다.